Surprise Me!

[여랑야랑]소쿠리 투표 책임은 누구? / 국민이 키운 김오수? / 문 닫는 국민청원

2022-03-19 202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Q. 여랑야랑, 오늘은 정치부 이다해 기자와 함께 합니다. 첫 번째 주제 보시죠. 소쿠리 투표 책임은 누구? 사전 투표 부실 관리 책임을 두고 논란이 계속되고 있어요? <br> <br>지난 대선 당시 코로나 확진자들의 표를 소쿠리나 쓰레기 봉투에 담아 보관하면서 사상 최악의 부실 투표였다는 비난을 받았잖아요. <br> <br>사퇴 압박을 받아온 노정희 중앙선거관리위원장은 최근 "앞으로 더 잘하겠다”며 사퇴를 거부했습니다. <br> <br>[노정희 /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] <br>(사퇴하실 건가요?) "… …" <br> <br>[노정희 /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] <br>(거취표명에 대해서 입장을 정리하신 게 있을까요?) "… … <br> <br>Q. 하지만 부실 관리에 대한 책임은 누군가는 져야 하는 거 아닌가요? <br> <br>네 중앙선관위는 부실관리 책임을 물어 선거정책실장과 선거국장을 교체한다고 밝혔는데요. <br><br>국민의힘은 "더 큰 책임이 있는 자신은 자리를 지키겠다고 하니 국민께 대한 최소한의 염치도 내팽개친 행태"라고 맹비난 했습니다.<br> <br>Q. 노 위원장은 이틀간 치러진 사전투표 기간 내내 휴일이라는 이유 등으로 출근하지 않아서 더 비난을 받기도 했잖아요. 그런데 더불어민주당에서 오늘 노 위원장을 엄호하고 나섰어요. 이유가 뭔가요? <br> <br>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 노 위원장을 두둔하는 성명을 냈습니다. <br><br>노 위원장 사퇴 요구에 대해 "6월 1일 지방선거를 앞두고 선관위 업무를 마비시키려는 처사"라고 지적한 겁니다. <br> <br>하지만 선관위 내부 직원들조차 더 이상 노 위원장을 신뢰할 수 없다며 거취 표명을 요구한 상황인 만큼 당분간 논란은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Q. 다음 주제 보겠습니다. 국민이 키운 김오수. “국민이 키웠다”는 표현은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대선 당시 슬로건 아닌가요? <br> <br>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대선 포스터를 김오수 검찰총장으로 패러디한 포스터인데요. <br> <br>최근 국민의힘에서 김오수 총장 사퇴를 요구하고 나선게 발단이 됐습니다. <br> <br>[권성동 / 국민의힘 의원(지난 15일 MBC 라디오 ""] <br>"김오수 총장이 자신의 거취를 스스로 결정해야 되지 않나 생각한다. <br> <br>윤 당선인 검찰총장 시절 이 장면 기억나시나요? <br> <br>[윤석열 / 대통령 당선인 (2020년 12월)] <br>"제가 임기 동안 할 일 충실하게 하는 것이 임명권자에 대한 것뿐만 아니라 국민들에 대한 책무라고 생각하고, 흔들림 없이 제 소임을 다 할 생각입니다.“ <br> <br>여권 지지자들이 사실상 사퇴를 거부하고 있는 김 총장을 윤 당선인처럼 키우자고 주장하고 있는 겁니다. <br><br>네 팟캐스트 나는꼼수다 출신 방송인 김용민 씨 등도 SNS에 "패러디의 고수다, 완전 인정"이라면서 동조하고 나섰는데요. <br> <br>김 총장 임기는 내년 5월 말 까지인데요.<br> <br>국민의힘과 힘겨루기가 예상됩니다. <br> <br>Q. 다음 주제 보겠습니다. 청와대가 국민 소통의 창구로 내세웠던 국민청원 게시판이 다음달 문을 닫게 된다고요? <br> <br>문재인 대통령의 임기 만료와 함께 국민청원 게시판 운영도 종료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누적 청원글 수는 4주년이었던 지난해 8월 100만 건을 돌파했고요.<br> <br>이중 280건에 대해 청와대가 답변을 했습니다. <br> <br>Q. 실제로 국민청원으로 인해 사회적 이슈로 연결된 사례도 있었죠? <br><br>지난해 3월, n번방 사건 용의자에 대해 신상공개를 요청하는 청원이었는데요. <br>  <br>역대 최다인 270만여 명의 동의를 받았고 실제 신상도 공개됐습니다. <br><br>또 어린이 안전사고를 막는 ‘민식이법’ 심신 미약 감형의무조항을 폐지한 ‘김성수법’ 등도 국민청원을 계기로 만들어졌습니다. <br><br>Q. 성과도 있었지만 정쟁의 장으로 변질됐다, 혹은 제대로 된 해결책 없는 '소통쇼'라는 비판도 있었잖아요? <br><br>‘정당 해산 논란’ ‘대통령 탄핵 ’같은 정치적인 이슈들이 자주 등장했기 때문인데요. <br> <br>청와대는 원론적인 입장만 되풀이 하기도 했습니다. <br><br>[강정수 / 당시 청와대 디지털소통센터장 (2019년 10, 국민청원 답변)]<br>"앞으로의 국정운영에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."<br> <br>[강기정 / 당시 대통령 정무수석 (2019년 6월, 국민청원 답변)]<br>"속 시원한 답을 드리지 못해 거듭 송구합니다."<br><br>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 온라인 소통보다는 오프라인 소통을 강화한다는 방침인데요 <br><br>국민의 목소리를 어떻게 귀기울일지 두보 봐야할 것 같습니다. <br><br>

Buy Now on CodeCanyon